# 전송 매체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로,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누어진다.
유선 전송 매체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광케이블 등
무선 전송 매체 :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등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UTP케이블과 STP케이블로 나누어진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랜 케이블이라고 한다. 보통은 랜 케이블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UTP케이블 : 구리 선 여덟 개를 두 개씩 꼬아 만든 네 쌍의 전선으로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
이 때 실드는 금속호일이나 금속의 매듭과 같은 것으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막는 역할을 한다.
UTP케이블은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아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지만 저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또한 UTP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 품질에 따라 Cat3,Cat5,Cat5e,Cat6,Cat6a,Cat7 등으로 분류된다.
분류 카테고리에따라 지원하는 속도가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STP케이블 : 두 개씩 꼬아 만든 선을 실드로 보호한 케이블. 노이즈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지만 비싸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음.
*노이즈 : 케이블에 전기 신호가 흐를 때 발생.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해서 구리 선 두 개를 비틀어 꼬아서 케이블을 만드는 것이다.
# RJ-45
랜 케이블의 양쪽 끝에 붙어있는 커넥터. 이 커넥터를 컴퓨터의 랜 포트나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하는 것.
# 다이렉트 케이블과 랜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 모두 실제로는 1번,2번,3번,6번 구리 선을 사용한다.
* 다이렉트 케이블 : 구리 선 여덟 개를 같은 순서로 커넥터에 연결한 케이블. 컴퓨터와 스위치를 연결할 때 사용.
* 크로스 케이블 : 구리 선 여덟 개 중 한 쪽 커넥터의 1번과 2번에 연결되는 구리 선을 다른 쪽 커넥터의 3번과 6번에 연결한 케이블. 컴퓨터 간에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할 때 사용. 양쪽 컴퓨터에서 1번과 2번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데이터가 충돌하기 때문에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해 일부러 중간에 전선을 교차시켜 송신과 수신 측이 올바르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리피터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 통신하는 상대방이 멀리 있을 때 리피터를 사이에 넣는 것. 하지만 요즘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리피터를 쓸 필요가 없다.
#허브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 포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일대일 통신만 가능한 반면, 허브는 포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 여러 대와도 통신할 수 있다. 허브는 리피터와 마찬가지로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전기 신호의 파형이 변경되는 이유는 전송되는 과정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허브를 이용해서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컴퓨터 여러 대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유용하다. 하지만, 허브는 특정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면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로도 받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성이 있다. 허브는 이처럼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전기 신호를 연결된 모든 포트로 보내기 때문에 더미 허브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미 허브의 특성으로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막기위한 대책으로 '스위치'라고 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20924 실전프로젝트 유지보수 트러블슈팅 (0) | 2022.09.24 |
---|---|
TIL 220923 (1) | 2022.09.24 |
TIL 220921 (1) | 2022.09.22 |
TIL 220920 개인프로젝트 트러블슈팅 (0) | 2022.09.22 |
TIL 220918 (0) | 2022.09.18 |